한국에서는 한복을 입는일은 거의 드붑니다. 경복궁이나 한옥마을 아니면요. 일본도 TV나 방송에서 보면 입을 것 같지만 중요 행사가 있는일이 아니면 옷을 입는 기회가 적어요. 또한 기모노 유카타 차이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많지가 않습니다. 이번에는 이에 대해 해설합니다. - 목차 - 1. 용도 "기모노"는 다양한 식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관혼상제에는 류수(토메소매)가 사용됩니다. 류수는 밑단에 무늬가 있는 기모노입니다. 성인식에 입는 기모노도 정장으로 옷에 자리매김합니다. 또한 공식적인 행사가 아니더라도 격식 있는 곳이라면 기모노를 입기도 합니다. 나들이용으로 입는 기모노는 밑단뿐만 아니라 어깨와 소매에 무늬가 들어가 있습니다. 자잘한 무늬도 기모노의 일종이며 같은 모양이 전신에 들어있는게..
소시지하면 비엔나가 떠오릅니다. 하지만 살라미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많지 않습니다. 살라미를 모르는 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소시지 살라미 차이는 알고 있나요? 부드러운 유무, 기름함량, 이미지의 차이 등 몇가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에는 양자의 차이를 명쾌하게 설명합니다. - 목차 - - 소시지란?? 소시지와 돼지 고기, 쇠고기 등 고기를 다진 고기로 하고 향신료와 섞이도록 장 등에 채운 식육 가공품입니다. 소시지는 채우는 자루의 차이, 혹은 굵기의 차이에 의한 명칭이 변화합니다. 비엔나 소시지 프랑크푸르트 소시지 볼로냐 소시지 장에 의한 구별 양의 장 사용 돼지 내장을 사용 소의 장을 사용 굵기에 의한 구별 굵기가 20mm미만 굵기가 20mm이상36mm미만 굵기가 36mm이상 원래 이 3종류의 ..
축구를 하고 있는 분이라면 누구라도 흙의 그라운드에서 플레이를 하기보다는 "천연 잔디"이나 "인조 잔디"의 그라운드에서 뛰고 싶네요. 그러나 "천연 잔디"과 "인조 잔디"에는 실제로 플레이를 하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왜 프로의 세계에서는 천연 잔디가 쓰이는지 궁금한 사람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에는 천연잔디 인조잔디 차이에 대해서 해설합니다. - 목차 - 축구 플레이어는 알아야된다. 천연 잔디"과 "인조 잔디"7개의 차이점 a. 공의 튀는 방식의 차이 인조 잔디 구장은 천연 잔디 그라운드와 달리 콘크리트 위에 인조 잔디를 깔고 있기 때문에 땅이 굳은 그만큼 공의 바운드는 커집니다. 인조 잔디 그라운드에서의 바운드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검은 고무팁을 깔고 있는 곳이 대부분입니다. 반면 조금 질..
'고래'와 '돌고래'가 포유류의 동물인 것은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양자는 어떤 구분이 있을까요? 돌고래는 지능이 높고, 귀엽다고 알려져 있고, 고래는 바다에서만 볼 수 있고 거대하다고 하는데, 이 글에서는 고래 돌고래 차이에 대해 해설합니다. - 목차 - 고래는?? '고래'는 '고래목'에 속하는 동물 전반을 가리킵니다. 고래목은 심지어 수염고래아목 라고 '고래아목'라고 나눌 수 있습니다. 덧붙여 아목은 "아목"라고 읽습니다. 입안에 수염이 나있고 콧구멍을 좌우로 가지는 것은 '수염고래아목'입니다. 흰고래, 흑등고래, 북극고래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또 치아를 기르고 콧구멍을 좌우 한쪽으로만 갖고 있는 것은 '이빨 고래 아목' 로 분류됩니다. 귀신고래, 귀신고래, 귀신고래 등은 ..
가톨릭과 개신교는 고등학교 세계사 때 들어봤을 겁니다. 개신교는 프로테스탄트라고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종교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알 수 있는 천주교 개신교 차이에 대해 해설합니다. - 목차 - 가톨릭과 개신교 6가지 차이점 1. 사고방식 천주교와 개신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신입니다.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천주교에서는 교회지만 개신교에서는 성경입니다. 가톨릭에서는 교회가 성경 해석을 했기 때문에 교회 쪽을 중시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반대로 개신교에서는 성경은 신의 말씀이므로 교회보다 성경을 더 소중히 여긴다는 사고방식입니다. 2. 성경의 해석 천주교 성경은 주석이 있고 해석을 통일하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개신교의 성경은 주석이 없기 때문에 어떻게 그 말을 받을지는 개인의 자유로 여겨지고..
마트에서 식품을 구매할 때 유통기한 또는 소비기한을 확인하고 구입하는 사람, 바로 먹겠다고 확인하지 않고 구입하는 사람 다양한 사람이 있을 거에요. 오래 보존하고 싶은 것이나 즉시 다 먹지 않는 것, 가격이 인하된 것 등의 경우 기한 표시를 확인 후 구입하는 사람이 대부분이 아닐까요? 이때 궁금한 유통기한 소비기한의 차이를 설명하겠습니다. - 목차 - 기한표시의 필요성 우선 기억해 두고 싶은 것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의 기한 표시가 의무화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 기한 표시는 수출할 때 외국에서 요구되어 의무화 된 것입니다. 기한 표시뿐만 아니라 식품의 원재료명이나 알레르겐 표시, 보존 방법 등 세세하게 기재되어 있는 것도 이 식품위생법에 의해 의무화되어 있는 것입니다. 유통기한이란? 정해진 날짜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