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의 서브리미널 효과입니다.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제창자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이번 시간은 이 용어의 말의 의미, 구체적인 예, 제창자, 신빙성 등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서브리미널 효과"의 정의 서브리미널 효과 (subliminal effect) : 무의식중에 자극을 줌으로써 나타나는 효과 - 서브리미널 효과의 의미를 자세히 서브리미널 효과란 무의식 중에 자극을 줌으로써 나타나는 효과를 말합니다. 인간에게는 의식과 잠재의식(무의식)이 존재합니다. 의식이란 "자신의 지금 상태나, 주위의 상황등을 인식 되어 있는 상태"이며, 잠재의식이란 "의식이 되어 있지 않다" 즉, "자신이나 주위의 상황을 인식 되어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서브..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인 "근접발달영역"입니다. 영문으로는 Zone of proximal development라고도하는데요. 말의 의미, 구체적인 예, 제창자, 영어 번역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근접발달영역의 정의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아이가 혼자서는 할 수 없지만, 외부의 도움이 있으면 할 수 있는 사물의 영역. - 근접발달영역의 의미를 자세히 근접발달영역이라고 하는 것은 아이가 혼자서는 할 수 없지만 외부의 도움이 있으면 할 수 있는 사물의 영역을 말합니다. 이는 발달중인 자녀 교육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는 심리학 용어입니다. 어린이는 어른에 비해 빠른 속도로 발달 및 성장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에 대한 교육은 ..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인 플라시보 효과입니다. 보통 의학드라마에서도 나오고 다큐멘터리에서도 나오기도 합니다. 주요한 내용은 무엇일까요? 말의 의미, 구체적인 예, 원인, 이용 예, 제창자, 유래 등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플라시보 효과의 정의 플라시보 효과(=플라세보 효과, placebo effect) : 가짜 약을 먹어도 진짜 약이라고 믿음으로써 증상에 어떤 개선이 이루어지는것. - 플라시보 효과의 의미를 자세히 플라시보 효과란 가짜 약을 먹어도 진짜 약이라고 믿음으로써 증상에 어떤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가짜 약이란 이름 그대로 겉보기에는 진짜 약 같지만 약으로서의 성분은 전혀 들어 있지 않은 가짜 약을 말합니다. 가짜 약의 성분 중에는 포도당이나 유당이..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의 호손 효과입니다. 호손은 사람의 이름 같지만 사실 공장이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의미가 있을까요? 단어의 의미, 구체적인 예, 유래, 유의어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호손 효과의 정의 호손 효과(Hawthorne effect) : 다른 사람이 보고 있으면, 무심코 열심히 하게 되는 심리 현상. - 호손 효과의 의미를 자세히 호손효과란 사람들이 보고 있으면 그만 힘을 내 버리는 심리현상을 말합니다. 사람은 마라톤에 지쳐 있어도 관객이나 친구들 앞을 지날 때만 숨이 차 있지 않은 것처럼 행동하거나 달리는 속도를 높이거나 합니다. "사람 앞에서 조금 허세를 부린다", "사람 앞에서는 힘을 내 버린다"라고 하는 현상을 "호손 효과"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
본래 무주의 맹시는 심리학에서 나온 용어 입니다. 영문으로는 Inattentional blindness라고 하는데요. 이번에 소개할 말은 심리학 용어의 무주의 맹시입니다. 말의 의미, 구체적인 예, 제창자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무주의 맹시의 의미 무주의 맹시(Inattentional blindness): 시야 속에 들어 있지만 주의가 다른곳을 향해 사물을 간과해 버리는 현상. - 무주의 맹시의 의미를 더 자세히 무주의 맹시란 시야 속에 들어 있지만, 주의가 기울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사물을 간과해 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뭔가 하나에 집중하고 있거나, 특정한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가 너무 높을 때 발생합니다. 무주의 맹시는 뇌 처리의 문제이지 시각의 문제가 아닙니다. 인간의 ..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씀은 심리학 용어인 "마스킹효과"입니다. 말의 의미, 분류, 구체적인 예, 유래, 활용법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마스킹효과의 정의 마스킹효과(masking effect) : 보통이라면 뚜렷하게 들리는 소리가, 다른 소리에 의해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 - 마스킹효과의 의미를 더 자세히 마스킹효과란 보통이라면 분명하게 들리는 소리가 다른 소리에 의해서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말해요. 조용한 방안에서는 또렷하게 들렸던 시계의 초침소리가 에어컨을 켜면 에어컨 소리에 의해 꺼져 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큰 소리가 작은 소리를 끄고 지울 뿐만 아니라 마스킹효과가 일어나기 쉬운 조건이 있습니다. 그것이 다음 두 가지입니다. 방해받는 소리와 방해하는 소리의 주파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