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인 집단 극화입니다. group polarization라고도 불리는데요. 말의 의미와 구체적인 예, 제창자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집단 극화의 정의 집단 극화(group polarization) : 조직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극단적인 선택지를 선택하기 쉬워지는 것. - 집단 극화의 의미 자세히 집단 극화는 집단에서 뭔가를 결정할 때 혼자서 결정할 때보다 극단적인 것을 선택하기 쉬워지는 것입니다. 집단 극화에는 리스키 시프트와 코셔스 시프트라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a. 리스키 시프트(Risky Shift)에 대하여 리스키 시프트란 집단으로 사물을 결정할 때 리스크가 있는 선택지를 취하기 쉬워지는 것입니다. 리스크 시프트가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
이번에 소개드릴 단어는 심리학 용어로 메타인지입니다. 영문으로는 Meta cognition이며, '초인지'라고도 불립니다. 이번엔 말의 의미와 구체적인 예, 제창자, 트레이닝법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메타인지의 의미 메타인지(=초인지, Meta cognition) :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내용을 이해하고, 컨트롤 하는 뇌의 기능. - 메타인지의 의미를 더 자세히 알아보자 메타인지란 자신이 하고 있는 언동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언동을 컨트롤하려고 하는 뇌의 기능을 말합니다. 메타 인지의 "메타"란, 고차(高次, higher dgree)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 '고차원'할때 고차입니다. 고차는 "정도가 높다" 라는 것을 의미해요. 즉, 자신이 인지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깊은..
이번에 소개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인 현상 유지 편향입니다. 말의 의미·구체 예·제창자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현상 유지 편향의 정의 현상 유지 편향(status quo bias) : 특별히 큰 일이 아니면 사람이 변화를 피해서 현상을 유지하려고 하는 것. - 현상 유지 편향의 의미를 더 자세히 현상 유지 편견은 현상을 그대로 유지하려는 심리 작용을 말합니다. 사람은 미지의 것이나 미체험에 두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현상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 인간에게는 '손실회피 심리'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것을 얻는 데 따르는 행복감보다, 지금까지 가지고 있던 것을 잃는 데 따르는 고통이 더 크다는 것입니다. 또한 손실 회피가 작용함으로써 현상 유지 편견이 강..
이번에 소개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인 '귀인이론'입니다. 귀인은 한문으로 歸因이라고도 하는데요. '원인의 귀착'이라고도 불립니다. 약간 어렵지만 "어떠한 원인을 그 행동에 귀속시켜야할지 추론·결정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이번엔 말의 의미·종류·제창자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귀인이론의 정의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 어떤 사항에 대해서, 그렇게 된 원인을 어떻게 찾아, 어떻게 결론 내릴지를 이론화한 것. - 귀인이론의 의미를 자세하게 귀인이론은 어떤 사물의 결과의 원인을 무엇에 귀속시킬지 사건이나 사람의 행동의 원인을 추론하는 이론을 말합니다. 심리학에서 '귀속'은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무엇인가에 구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즉, 결과가 돌아가는 장소, ..
이번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인 애착이론입니다. "애착이 가다"의 그 '애착'인데요. 영문으로는 Attachment theory라고 불립니다. 이번에는 말의 의미, 구체적인 예, 제창자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애착이론의 정의 애착이론(Attachment theory) : 사람과 사람 사이의 친밀함을 표현하려는 애착 행동에 대한 이론. - 애착이론의 의미를 자세히 애착이론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친밀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애착행동에 대한 이론을 말합니다. 애착행동은 주로 유아와 같은 어린 아이들이 하는 행동입니다. 어머니나 유모등의 양육자에 대해서 "울다", "매달리다", "쫓아간다" 등의 행동을 자주 합니다. 이런 것들은 유아에게 원래 갖추어져 있는 생리적 욕구 중 하나입니다. 그..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의 쿨레쇼프 효과입니다. 쿨레쇼프는 제창자의 이름을 딴 용어인데요. 이번엔 단어의 의미, 구체적인 예, 제창자, 유의어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쿨레쇼프 효과의 정의 쿨레쇼프 효과(Kuleshov Effect) : 영상의 전후가 변화함에 따라 생기는 의미나 해석의 변화. - 쿨레쇼프 효과의 의미를 자세히 "쿨레쇼프 효과"란, 영상의 전후가 변화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의미나 해석의 변화를 말합니다. 같은 영상이나 사진이라고 해도, 그 전후의 영상이나 흐름에 의해서 받는 인상이 변화합니다. 이것을 쿨레쇼프 효과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고양이가 뛰는 동영상 전에 먹이 장면이 있으면 기뻐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한편으로 뱀의 장면이 있으면, 놀라고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