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손효과 의미와 구체적인 예를 알기 쉽게 해설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의 호손 효과입니다. 호손은 사람의 이름 같지만 사실 공장이름입니다. 이번에는 어떤의미가 있을까요? 단어의 의미, 구체적인 예, 유래, 유의어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호손 효과의 정의

     호손 효과(Hawthorne effect) : 다른 사람이 보고 있으면, 무심코 열심히 하게 되는 심리 현상. 

     

    - 호손 효과의 의미를 자세히

    etc-image-0

     호손효과란 사람들이 보고 있으면 그만 힘을 내 버리는 심리현상을 말합니다. 사람은 마라톤에 지쳐 있어도 관객이나 친구들 앞을 지날 때만 숨이 차 있지 않은 것처럼 행동하거나 달리는 속도를 높이거나 합니다. "사람 앞에서 조금 허세를 부린다", "사람 앞에서는 힘을 내 버린다"라고 하는 현상을 "호손 효과"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관심을 갖거나 기대하는 사람에게 응답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권위가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이런 경향이 강합니다. 이 이유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 권위 있는 사람에게 약하기 때문이라는 소극적인 이유
    • 권위 있는 사람의 말을 좇음으로써 마음에 들려고 한다는 적극적인 이유입니다. 
     

    - 호손 효과의 구체적인 예

    etc-image-1

    호손 효과는 어느 실험에서 발견된 심리 현상입니다. 미국의 공장에서 행해진 "노동자의 작업 효율 향상에 대한 조사"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아래와 같은 실험내용입니다. 

    • 공장에서의 작업 효율을 높이는 요인에 대한 조사가 행해졌습니다. 공장 안의 밝기나 휴식 시간 등을 변화시켜 어떤 조건이 작업 효율에 강하게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할 수 있었습니다. 
    • 그러나 본래라면 작업 효율이 떨어져야 할 조건일 때에도 노동자의 작업 효율이 올라가 버렸습니다. 예를 들어 손이 극단적으로 어둡거나 휴식 시간이 적거나 하는 경우에도 작업 효율은 올랐습니다. 

     이 원인이 호손 효과입니다. 이 실험은 하버드 대학의 연구자에 의해서 행해졌습니다. 그것을 알고 있던 노동자는, "스스로가 상사나 연구자에게 보여지고 있는 것",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을 강하게 의식했고, 거기에 따라 조건에 관계없이 작업 효율이 올랐습니다. 이 결과, 밝기나 장소등의 물리적 요인보다, 주위의 관심 쪽이 작업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았습니다. 

     

    - 호손 효과의 유래

    etc-image-2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손 효과"는 공장의 작업 효율에 대한 실험속에서 발견된 심리 현상입니다. 이 실험이 진행된 미국 공장의 이름이 호손 공장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 호손 효과와 유의어

    etc-image-3

     호손 효과와 유의어는 피그말리온 효과입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란, 다른 사람으로부터 기대를 받는 것으로 학습이나 작업등의 성과를 낼 수 있는 효과입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로젠탈이 발견한 심리현상입니다. 이 때문에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사 기대 효과"나 "로젠탈 효과"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호손 효과와 비슷한 심리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호손 효과 : 사람의 주목, 관심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됨.
    • 피그말리온 효과 : 사람의 기대에 따라 성적이 올라간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