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의 밴드왜건 효과입니다. 편승효과 또는 사회적 증명의 원리라고 불리는데요. 이번엔 단어의 의미, 구체적인 예, 유래, 이용의 예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밴드왜건 효과의 정의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 어떤 선택지를 다수가 선택하고 있는 현상이 그 선택지를 선택하는 사람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
- 밴드왜건 효과의 원리와 의미를 더 자세히
밴드왜건 효과란 어떤 선택지를 다수가 선택하고 있는 현상이 그 선택지를 선택하는 사람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를 말합니다. 편승효과 또는 사회적 증명의 원리라고도 불립니다. 인간은 무언가를 결정할 때나 행동을 할 때 다른 사람의 행동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이것은 "모두가 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일을 하자"라고 의식하고 생각하지 않아도, 무의식중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가고 싶었던 가게가 너무 텅 비면, 들어가기를 조금 주저해 버리거나 반대로 행렬의 가게가 신경이 쓰여 버리거나 하는 것이 "사회적 증명의 원리"에 들어맞습니다.
- 밴드왜건 효과의 구체적인 예
예를 들어 슈퍼마켓에 오렌지 주스가 2종류 진열되어 있었다고 합시다. 한 종류는 대량으로 재고가 남아도는 것이고, 다른 한 종류는 나머지 한 개밖에 재고가 없습니다. 인간은 두 종류가 있으면 왠지 후자 쪽을 손에 들어 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모두가 사는 오렌지 주스 쪽에 더 가치를 느낍니다.
- 밴드왜건 효과의 유래
밴드왜건은 퍼레이드의 선두를 달리는 음악대의 차량을 말합니다. 그리고 "밴드왜건을 타다"라는 표현은 "유리한 법에 편승하다", "다수파에 동조하다" 등의 의미로 쓰입니다. 이 때문에 인간이 대다수에게 동조하도록 행동하는 것을 편승효과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 밴드왜건 효과의 이용 예시
사회적 증명의 원리는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품의 많은 책에는 띠가 달려 있고, 거기에는 베스트셀러나 10만 부 돌파 등이라고 쓰여져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다른 "사람도 읽습니다.", "인기입니다."라는 표지를 하여 구매의욕을 돋우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인터넷 상에서 항공권이나 숙소를 잡을 때도 "사회적 증명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습니다.
숙소나 항공권을 조사해 보면 오늘 중 4명이 숙소를 예약했습니다. 그럴떄 "현재 32명이 이 항공권을 보고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나타날 때가 있습니다. 이것은, "서둘러야겠다"라고 생각하게 하는 것도 물론, "인기 있는 상품이다"라고 생각하게 하는 것도 노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