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의 대비효과입니다. 콘트라스트 말그대로 '대비'라는 의미 입니다. 이 용어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이번엔 말의 의미, 구체적인 예, 유래, 영어 번역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대비효과의 정의
대비효과(contrast effect) : 앞뒤로 대비시키는 것에 따라 사물의 인상이 크게 달라지는 심리현상.
- 대비효과의 의미를 자세히
대비효과란, 전후에 대비시키는 것에 의해서 인상이 크게 바뀐다고 하는 심리 현상을 말합니다. 인간의 뇌는 객관적이지 않고 상대적으로 사물을 판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두번째로 느낀 자극이, 처음에 느낀 자극과 다를 때에 그것이 실제 이상으로 처음의 것과 다르게 느껴져 버리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초콜릿을 먹은 후에 레몬을 먹을 때는 단순히 레몬을 먹을 때보다 시다고 느껴집니다. 이는 인간의 뇌가 초콜릿 맛과 레몬 맛을 비교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 때, 받는 자극의 종류는 같지 않으면 "대비효과"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가령 초콜릿의 맛을 느낀 다음에 귤향을 맡아도 의미가 없는 거죠. 미각이라면 미각끼리, 후각이라면 후각끼리 비교했을 때 대비효과가 발생합니다.
- 대비효과의 구체적인 예
대비효과에는 다양한 구체적인 예가 있습니다. 후각이나 미각 이외에도 여러 가지 감각과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5kg의 아령을 들어올린 후에 3kg의 아령을 들면 평소보다 3kg의 아령은 가볍게 느껴집니다. 또한 20도의 물에 손을 넣었을 때의 느낌도 앞의 조건에 따라 다릅니다. 10도의 물에 손을 넣은 후라면 따뜻하게 느끼고, 30도의 미지근한 물에 넣은 후라면 차갑게 느낄 것입니다.
- 대비효과의 유래
대비효과의 이름은 '대비'라고 하는 의미의 영어 단어 'cotrast'가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전후 감각의 '대비'에 의해서 일어나는 심리 현상이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습니다.
- 대비효과의 이용
대비효과는 다양한 장면에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 다수는 비즈니스의 모습입니다. 보통이라면 10만원짜리 옷은 조금 비싸다고 느끼지만, 200만원짜리 옷을 보고 난 후에는 조금 싸게 느껴집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통상 가격을 매우 높게 만들어 놓고, 세일품으로 70% 할인 등으로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원래 3000원인 것보다 1만원인 것이 3000엔으로 인하되어 있는 것이 더 싸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에도 비슷한게 있습니다. 실제로 임대나 판매에 내놓고 싶은 본래의 물건보다 덜 매력적인 물건을 먼저 안내하여 구매욕구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비슷한게 원룸을 구할때 그렇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