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렘 효과 의미와 구체적인 예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인 골렘 효과입니다. 골렘은 판타지 소설이나 게임에서 많이 나오는 단어인데요. 심리학에서도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번엔 단어의 의미, 구체적인 예, 제창자, 유래 반대어 등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골렘 효과의 의미

     골렘 효과(Golem effect)어떤 인물에 대해서 주위의 기대가 낮은 경우, 그 인물은 주위의 기대대로 퍼포먼스가 저하되어 버리는 것을 말함.

     

    - 골렘 효과의 의미를 자세히

     골렘 효과란, 어떤 인물에 대해서 주위의 기대가 낮은 경우, 그 인물은 주위의 기대대로 퍼포먼스가 저하해 버리는 것입니다. 이 현상에는 주위 사람들이 대하는 방법이나 본인의 의욕 등 다양한 원인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 골렘 효과의 구체적인 예

    골렘 효과가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고 되어 있는 것은 교실내입니다. 교사가 어떤 학생에 대해 기대를 하지 않으면 그 학생의 퍼포먼스가 현저히 저하되어 버린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여기서 퍼포먼스란, 시험의 점수등의 공부면은 물론, 운동이나 생활 태도등 다양한 것을 포함합니다. 골렘 효과의 연구의 상당수는 상기와 같이 교육 관련해서 행해지고 있지만, 직장등의 환경에서도 영향을 줍니다. 상사가 부하에게 전혀 기대를 하지 않고 대하면 부하의 퍼포먼스는 저하될 것입니다.

     

     

    - 골렘 효과의 제창자

    골렘 효과는, 미국의 교육 심리학자인 로버트·로젠탈이 1960년대에 제창했습니다. 그는 한 반에 지능 테스트를 실시해 성적이 좋은 학생 반과 성적이 나쁜 학생 반 두 가지로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교사에게는 반대의 말을 전했습니다. "성적이 좋은 학생 반은 이쪽, 이쪽은 성적이 나쁜 반입니다"라고 전했고, 성적이 나쁜 학생 반 교사들이 이 발언을 믿고 지도를 한 결과 기대도와 비례하는 결과가 나온 것입니다. 성적이 나쁜 학생 반은 성적이 오르고 성적이 좋은 학생 반은 성적이 떨어진 거죠. 이는 여러조건에서 고려해해야하며 심리학으로만 판단 할 수 없지만, '기대'라는 심리가 어느정도 영향을 줬다고 볼 수 있는겁니다.

     

     

    - 골렘 효과의 유래

    골렘 효과는 유대에 전해지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골렘이란 유대에 전해 내려오는 진흙으로 만든 인형의 이름입니다. 골렘은 의사가 없이 주인이 조종하는 대로 움직입니다. 그러나 이마에 그려져 있는 문자의 일부를 지움으로써 단순한 진흙으로 돌아가 버립니다. 이 모습이, "능력이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말이나 태도에 의해서 그 힘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라고 판단하여 "골렘 효과"가 생겨났습니다.

     

     

    - 골렘 효과의 반대말

     골렘효과에는 심리적인 학설이 있습니다. 바로 피그말리온 효과입니다. 골렘 효과와 짝을 이루는 심리 현상으로 "주위로부터 기대되고 있으면, 본인이 결과를 내기 쉬워진다"라고 하는 것입니다. 기대와 퍼포먼스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원래는 이쪽의 '피그말리온 효과'쪽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습니다. 그 후 반대의 효과를 나타내는 골렘 효과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입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