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 프라이밍 효과입니다. 어떤의미가 있을까요? 말의 의미, 구체적인 예, 유래 등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프라이밍 효과의 의미
프라이밍 효과(priming effect) : 미리 어떤 것을 보고 들음으로써 나중의 행동이나 생각이 영향을 받는 것
- 프라이밍 효과의 의미를 더 자세히
프라이밍 효과라는 것은 미리 어떤 것을 보고 듣는 것으로 인해 나중의 행동이나 생각이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심리학 용어로 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프라이머라고 불리는 선행 자극에 의해서, 타깃이라고 불리는 후속 자극의 처리가 억제 또는 촉진되는 것입니다. 억제되는 경우에서는 특히, '네거티브 프라이밍 효과'라고 부르는 일이 있습니다. 여기서의 '선행 자극'은, 어느 사진, 일러스트를 보거나 하는 것이나, 어느 단어, 사항에 대한 이야기를 듣거나 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것을 스스로 노골적으로 의식하고 있지 않아도, 잠재적으로 머리에 남아 있기 때문에, 그 후의 생각이나 행동에 강하게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 프라이밍 효과의 구체적인 예
예를 들어 오셀로는 "무슨 색과 무슨 색의 돌을 사용합니까?"라는 질문을 한 뒤 생각나는 동물을 번쩍 들어보라고 요구하면 판다와 얼룩말 등 흑백 동물을 꼽기 쉬워지는 것입니다. 또 연상게임을 하기 전에 미리 채소 이야기를 함으로써 빨간색이라는 단어에서 토마토를 연상하기 쉽습니다. 또한 샹들리에라는 단어를 미리 말하게 함으로써 독사과를 먹고 죽은 것은? 이라는 질문에 발음이 비슷한 신데렐라가 연상되기 쉬워지는 것입니다.
- 프라이밍 효과의 실험 사례
프라이밍 효과에 관한 실험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먼저 젊은 피험자에게 어떤 인물 묘사를 읽어주었습니다. 그 중에는 '건망증'이나 '고독'등의 '노인'을 이미지 하는 것 같은 단어가 몇개나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렇게 읽고 난 직후의 보행 속도가 또래 사람보다 느려졌습니다. 이는 미리 읽은 인물묘사의 고령자라는 이미지로 인해 보행속도가 억제된다는 프라이밍 효과의 한 예입니다.
또, 다음과 같은 실험도 있습니다. 피험자에게 쿠키를 먹으라고 한 후 방에 냄새가 나지 않는 경우와 세제 향기가 나는 경우로 나누었습니다. 세제 냄새가 나는 방의 피험자는 쿠키를 먹은 후 책상 청소를 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그 비율은 무취의 방에 있는 피험자와 비교해서 약 3배였습니다. 이 것은 피험자가 세제 향에서 청소를 무의식적으로 연상하는 결과의 행동이에요.
- 프라이밍 효과의 유래
'프라이밍 효과'의 '프라이밍'은 영어 단어 "prime"의 동명사형입니다. prime은 동사로 미리 알려주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입니다. 어떤 단어나 이야기를 "미리 알려주다"가 나중에 말을 연상하기 쉽게하기 위해서 이 이름들이 붙어졌습니다.
[관련글]
[심리학 용어] - 피그말리온 효과 의미와 구체적인 예를 해설
[심리학 용어] - 메라비언의 법칙 의미와 구체적인 예를 쉽게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