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메랑 효과 의미와 구체적인 예

이번에 소개해드릴 말은 심리학 용어의 부메랑 효과입니다. 의도적으로 앞방향으로 던지지만 않으면, 정상적인 부메랑은 던지면 반대로 돌아오게 되어 있습니다. 심리학에서도 부메랑을 사용하는데요. 이번에는 말의 의미, 구체적인 예, 유래 등에 대해 알기 쉽게 해설합니다.

 

 

 

- 목차 -

     

     

     

    - 부메랑 효과의 의미

    부메랑 효과 (boomerang effect)일의 결과가 그 행위를 한 사람에게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

     

    - 부메랑 효과의 의미를 더 자세히

     부메랑 효과는 사물의 결과가 그 행위를 한 사람에게 부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을 말합니다. 여러 분야에서 쓰이는 말인데 먼저 심리학 용어로서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심리학 용어로는 설득당하는 쪽이 설득자의 의도와는 반대로 의견을 바꿔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매장에 있기만 하는 경우보다 세일즈맨에게 제품을 강력히 권유하는 경우가 더 살 마음이 없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간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자유를 원합니다. 누군가에게 강하게 설득당함으로써 자신의 자유가 침해된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굳이 반대의 선택을 함으로써 스스로의 자유를 유지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현상에 일어나기 쉬운 조건이 몇 가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설득당하는 측이 설득하는 측을 믿지 않는 경우입니다. 신용도나 친밀도가 높을수록 부메랑 효과는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두 번째로 설득자와 설득되는 측의 원래 의견이 같은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원래 의견이 다른 사람이 설득이 어려운 것처럼 느끼지만, 부메랑 효과에 대해서는 반대입니다. 공부의 중요함을 설명받았을 때에 공부의 의욕을 잃어 버리는 것은 "공부가 중요하다"라고 스스로도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 부메랑 효과의 구체적인 예시

     부메랑 효과의 구체적인 예에는 가까운 것이 여럿 있습니다. 예를들면, 부모님이 "숙제를 해라"라고 하면 의욕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 또 돈 많은 남자가 여자에게 너무 노골적으로 돈이 많다고 하면 그것은 역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원래 강점이었을 '부자'라고 하는 요소가, 설득에 의해서 부정적인 인상을 주어 버립니다. 또, 정치가의 "투표 부탁드립니다", "깨끗한 한 표를 부탁합니다"등의 말을 반복적으로 듣는것으로 투표를 하고 싶지 않게 되어 버리는 것등도 그 일례입니다.

     

     

    - 부메랑 효과의 유래

     부메랑 효과는 이름 그대로 사물의 결과가 그 행위를 한 사람에게 부정적인 효과를 주는 모습을 부메랑이 던진 자리로 돌아온다는 뜻으로 지은 이름입니다. 부메랑이 제대로 돌아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부메랑 효과는 기본적으로 마이너스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가리킵니다. 돌아온 부메랑을 잘 받지 못할 경우에는 던지는 사람이 부상을 당하게 됩니다.그래서 연상되는 마이너스 이미지입니다.

     

    - 경제학에서의 부메랑 효과의 의미

     부메랑 효과라는 말은 심리학 이외의 다른 분야에서도 쓰입니다. 경제학 분야에서도 자신에게 좋은 효과를 노린 행위가 스스로에게 나쁜 효과를 주는 것이라는 큰 의미는 같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선진국이 시장의 확대나 해외에의 참가를 노려 생산 기술을 도상국에 이전했을 때 등에 일어납니다. 이전한 생산기술이 도상 국내에서 확립되면 자국 제품과 경쟁하는 라이벌이 되어 버립니다. 이것이 부메랑 효과입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