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진 유리창 이론 의미와 구체적인 예

심리학 이론은 들어보면 그럴싸한데, 실제에 적용하면 맞지 않는 부분도 있습니다. 대표적인게 범죄인데요. 범죄에 대한 심리학은 여러 이론이 있는데 그 중 깨진 유리창 이론이 있습니다.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제창자는 누구 일까요? 이번에는 이에 대해 소개합니다.

 

- 목차 -

     

    - 깨진 유리창 이론의 의미를 확실히 이해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 : 작은 부정, 범죄를 철저히 단속해야 큰 부정, 범죄를 막을 수 있다는 이론

     

    - 깨진 유리창 이론의 의미

    깨진 유리창 이론은 작은 부정·범죄를 철저히 단속함으로써 큰 부정·범죄를 막을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건물 창문이 부서져 있는 것을 방치하고 있는 마을은 범죄율이 많아진다는 생각에서 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 깨진 유리창 이론이 일어나는 이유

     건물의 창문이 깨지는 것을 방치하면 범죄율이 높아진다는 생각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우선 건물의 창문이 깨진 채 방치되어 있는 것은 그 지역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사람이 없다는 신호입니다. 그것을 본 사람들은 쓰레기 투기나 신호 무시등의 작은 범죄를 저지르게 됩니다. 주민의 도덕성이 자꾸만 떨어져 갑니다. 그 악순환이 계속되고, 결국 흉악 범죄를 포함한 범죄의 발생률이 오르는 것입니다.

     

    - 깨진 유리창 이론을 사용하여 부정을 방지하는 방법

     이 이론의 구조를 이해하면 그것을 이용해 큰 부정을 막는 방법도 알 수 있습니다. 작은 부정이 큰 부정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최초의 작은 부정을 단속하면 됩니다. 구체적으로는 함부로 버리는 등의 경미한 범죄도 단속하는 것이나, 공공 공간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 등입니다. 벽의 낙서를 지우거나 공중 화장실을 깨끗하게 유지함으로써 범죄 발생률을 억제 할 수 있습니다.

     

    - 깨진 유리창 이론의 구체적인 예

    실제로 이 이론을 증명하는 실험이 전 세계에서 행해지고 있습니다. 우선 우편함에 돈봉투를 넣어두고 피험자가 그것을 훔치는지 관찰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우편함 주변에 낙서가 있거나 쓰레기가 버려져 있거나, 더러워져 있을 경우에는 현금을 도난당할 확률이 25%였습니다.그에 반해 우편함이나 그 주위가 깨끗했던 경우에는 반이하인 13%로도 감소했습니다. 또 뉴욕은 과거에 매우 치안이 나쁘다고 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만, 시장은 "깨짐 유리창 이론"을 이용해 치안을 개선하려고 했습니다. 줄리아니 시장은 당시 다발적이던 지하철 무임승차를 철저히 단속했습니다. 단속에 따라 지하철 무임승차 이외의 범죄도 줄어들었고, 급기야는 뉴욕에서 벌어졌던 강력 범죄 발생 건수도 감소했습니다.

     

    - '깨진 유리창 이론'의 제창자

     깨진 유리창 이론을 제창한 사람은 미국의 범죄학자인 조지 켈링입니다. 또 깨진 유리창 이론이라는 이름은 조지 켈링과 심리학자 제임스 윌슨이 1982년 발표한 논문 중 처음 사용됐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