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늦은 원인은 무엇이냐?", "오늘 늦은 이유는 무엇인가" 중 어느것이 맞는 말일까요? 중요한 멘트를 적는 경우나 연구보고서를 작성할때 이 '원인'과 '이유' 이 둘의 차이에 대해 헷갈려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원인'과 '이유'는 둘 다 결과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선 비슷합니다. 그렇지만 실제 쓰임새는 다릅니다. 이번에는 원인 이유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먼저 원인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원인 (原因) 1. 어떤 사물이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일으키게 하는 또는 근본이 된 일이나 사건. 이유 (理由) 1. 어떠한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까닭이나 근거. 2. 구실이나 변명. 즉, '원인'이 결과를 이끌어 낸 근본적인 일이나 사건을 의미하는 반면, '이유'는 결과에 이른 까닭이나 근거를 나타냅..
'바람에 흩날리다'와 '바람에 휘날리다'중 어느 것이 맞을까요? 문득 보기엔 두 가지 다 맞는 말 같지만 두 단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에 대한 정리 글입니다. - '형태 분석'에서의 차이 '흩날리다'는 먼저 (동사) '흩다'의 어간 흩과 (동사) 날다의 피동사 '날리다' 구성의 '합성어'이며, '휘날리다'는 일부 동사 앞에 붙어 매우 심하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휘와 (동사) 날리다 구성의 '파생어'입니다. - '뜻'에서의 차이는? 먼저 '(동사) 흩날리다'는 '그렇게 하다' 또는 '흩어져 날리다.'라는 뜻이며, '(동사) 휘날리다'는 또는 '그렇게 나부끼게 하다', '거세게 펄펄 나부끼다.', '거세게 펄펄 흩어져 날거나 날게 하다', '명성이나 이름 따위를 널리 떨치다'라는 뜻..
외국학생들이 배울 때 어렵게 여기는 부분 중에 하나입니다. 사실 한국사람은 상황에 따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한국 정서를 배우기엔 어려움이 뒤따릅니다. 사실 발음은 같습니다. 하지만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통 '네가'를 '니가'라고 읽습니다. 요즈음에는 '네가' 대신 '니가'라고 쓰고 발음하는 사람들이 훨씬 많아요. 하지만 '네가'가 맞는 표현이죠. 필자가 보기에 보통 발음 보다는 상황에 따라 구별하는 것 같아요. 가수들도 노래부를 때 '네가'를 '니가' 라고 부르곤 해요. 편견일 수도 있지만 '니가'라는 단어로 시작되는 건 조금 반말 섞인 의미로 들릴 수 있으며, '네가'라는 건 좀 더 정중한 표현인 것 같아요. 한국인도 헷갈리다보니 책을 읽다 보면 '내가'와 ..
- 조리 요리 차이는 무엇일까요? - 음식을 만들다보면 '조리' '요리' 중에 어느 단어을 선택해야하는지 모를떄가 있습니다. 저도 생각해보면 "피자를 요리하다"와"피자를 조리하다"중에 어떤차이가 있는지 긴가민가 하는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해요.- 정의를 알아봅시다 -일단 사전적의미를 알아봅시다. 먼저 요리는 영어로는 dish, Cooking으로 되어 있으며 흔히 계량기 등으로 계측하는것이 중심개념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던 것이 현재는 조리를 통해 먹을 수 있는 형태로 만든 음식물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국어사전에는 여러 조리과정을 거쳐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이라고 나와있습니다. 따라서 완성품 음식이라는 의미가 강합니다. 한편 조리는 영어로는 Co..
- 아스파라긴 효과 및 차이 - 아스파라긴은 아스파라거스에서 발견 된 아미노산의 일종입니다.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아스파라거스에서 발견 되었기 때문에, 아스파르트라고 명명했습니다. 유해한 암모니아를 체외로 배출하고 중추 신경계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또한 신경 전달 물질의 재료가되기도 근육과 내장의 근원이되는 단백질의 합성에도 사용됩니다. 또한, 아스파라긴은 TCA회로에 작용하여 에너지 대사를 촉진하기 때문에 운동시 지구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아스파라 긴 아스파르트산 차이는 뭘까?아스파라 긴을 가수 분해하면 아스파라긴산이 생성됩니다. 아스파라 긴과 아스파르트산은 이름이 비슷하지만 각각 다른 물질입니다. 아스파라긴산은 에너지 대사를 증가시키고, 칼슘과 칼륨 등 미네랄을 전신에 운반하는 역할..
무엇을 사용함으로, 무엇을 사용하므로 어느것이 맞는 말일까요? 보전함으로 보전하므로 중 자주 들어본 단어는 보전함으로 인것 같은데 어느게 맞는지 혼동스러울때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나온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므로'는 동사 어간 '하-'에 까닭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므로'가 붙은 형태이며, '함으로(써)'는 '하다'의 명사형 '함'에 조사 '으로(써)'가 붙은 형태입니다. 이에 따라, '하므로'는 '하기 때문에'라는 뜻을 나타내고, '함으로(써)'는 '하는 것으로(써)'라는 뜻을 나타냅니다.즉, 하므로의 하는 동사어간에 까닭의 뜻인 '므로'가 연결된 말이고 함으로는 하다의 명사형 '함'과 조사 '으로'가 연결되어 나온말입니다. 하므로는 '하기 때문에'이라..